본문 바로가기
정보글

파이썬 머신 러닝: 초보자를 위한 핵심 개념과 예제 코드

by 노트컴히어 2023. 6. 27.

1. 머신 러닝이란?

 

 

 

머신 러닝은 컴퓨터가 데이터로부터 학습을 통해 패턴을 찾아내고 예측 모델을 만드는 인공지능 기술 중 하나입니다. 이러한 머신 러닝 기술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음성 인식, 이미지 분류, 자연어 처리, 추천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됩니다.

 

머신 러닝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 중 하나는 모델입니다. 모델은 데이터를 입력받아 출력값을 예측하거나 분류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모델은 여러 알고리즘을 통해 학습이 이루어집니다. 학습 데이터와 테스트 데이터로 모델의 성능을 평가하며 최적의 모델을 찾아내는 것이 핵심적인 목적입니다.

 

파이썬은 머신 러닝 분야에서 널리 쓰이는 프로그래밍 언어 중 하나입니다. 파이썬은 다양한 머신 러닝 라이브러리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라이브러리들은 높은 수준의 추상화와 쉬운 사용성으로 인해 머신 러닝 분야에서 인기가 높습니다.

 

 

 

2. 파이썬을 이용한 머신 러닝의 장점

 

 

 

파이썬은 머신 러닝에 필요한 라이브러리를 제공하는 풍부한 생태계를 가지고 있으며, 머신 러닝 분야에서 가장 인기 있는 언어 중 하나입니다. 이를테면, Numpy, Pandas, Scikit-learn, Keras, TensorFlow 등의 라이브러리가 파이썬에서 지원됩니다.

 

이러한 라이브러리들은 머신 러닝 분야에서 자주 사용되는 기능들을 손쉽게 구현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데요. 따라서 파이썬은 다양한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쉽게 이해하고 구현할 수 있게 해주는 강력한 언어입니다.

 

또한, 파이썬은 머신 러닝 분야에서도 매우 활용도가 높은 데이터 처리와 시각화 분야에서도 자주 사용됩니다. 데이터 분석 과정에서 필요한 전처리,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다루는 작업과 같은 작업을 수행할 때도 파이썬은 매우 적합한 도구입니다.

 

마지막으로, 파이썬은 문법이 쉽고 직관적이며 다양한 온라인 리소스들이 풍부하며 활발하게 참여하는 개발자 커뮤니티 덕분에 초보자도 빠르게 학습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머신 러닝을 처음 시작하는 초보자들도 파이썬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3. 머신 러닝에서 자주 사용되는 라이브러리 소개

 

 

 

머신 러닝에서 여러 가지 작업을 수행하는 데에는 다양한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파이썬에서 자주 사용되는 머신 러닝 라이브러리 몇 가지를 살펴보겠다.

 

1. Scikit-learn

 

Scikit-learn은 파이썬에서 가장 인기있는 머신 러닝 라이브러리 중 하나이다. 다양한 머신 러닝 알고리즘의 구현과 데이터 전처리, 모델 선택 등 머신 러닝의 전 과정을 지원한다. Scikit-learn은 다른 라이브러리와 연계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2. TensorFlow

 

TensorFlow는 구글에서 개발한 딥러닝 라이브러리이다. 딥러닝 모델의 구현과 학습과정을 지원하며, 분산 학습을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최근에는 케라스라는 딥러닝 라이브러리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3. Keras

 

Keras는 딥러닝 라이브러리 중 하나로, TensorFlow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케라스는 간결한 인터페이스와 높은 추상화 수준을 제공하기 때문에, 딥러닝 모델을 쉽게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4. PyTorch

 

PyTorch는 Facebook에서 개발한 딥러닝 라이브러리이다. TensorFlow와 비슷한 기능을 제공하지만, 동적 계산 그래프를 사용하여 딥러닝 모델을 구성하는 것이 더욱 쉽고 직관적이다. PyTorch는 딥러닝 연구자들에게 인기가 있는 라이브러리 중 하나이다.

 

5. Pandas

 

Pandas는 데이터 분석과 전처리를 위한 라이브러리로, 데이터를 다양한 형식으로 불러오고 처리하는 것을 지원한다. Pandas는 데이터 프레임을 제공하여 데이터를 다루는 것이 보다 쉬워진다는 장점이 있으며, Scikit-learn과 함께 사용될 때 더욱 강력한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라이브러리들은 파이썬 생태계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며, 머신 러닝에 관심 있는 개발자라면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하는 핵심 라이브러리이다.

 

 

 

4. 지도 학습 (Supervised Learning)의 개념과 예제 코드

 

 

 

지도 학습(Supervised Learning)은 입력 데이터와 그에 상응하는 출력 데이터(정답)가 존재하며, 이 데이터를 학습하여 새로운 입력 데이터를 예측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대부분의 일반적인 머신 러닝 작업에서 사용된다.

 

지도 학습에서 데이터는 라벨(Label)이라고 부르는 출력 데이터와 특징(Feature)이라고 부르는 입력 데이터로 구성된다. 특징은 샘플 데이터에서 관찰되거나 측정된 데이터의 특성을 말한다. 예를 들어, 꽃의 색, 잎의 길이와 같은 특징을 기반으로 그 꽃이 어떤 종류인지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도 학습을 위한 대표적인 알고리즘으로는 회귀 분석(Regression)과 분류(Classification)가 있다. 회귀 분석은 입력 데이터와 출력 데이터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모델을 만드는 작업을 말한다. 분류는입력 데이터를 미리 정의된 범주(Class)에 할당하는 작업이다.

 

아래는 파이썬 코드를 통해 붓꽃(Iris) 데이터를 이용한 분류 예제이다.

 

```

 

from sklearn.datasets import load_iris

 

from sklearn.model_selection import train_test_split

 

from sklearn.neighbors import KNeighborsClassifier

 

iris = load_iris()

 

X_train, X_test, y_train, y_test = train_test_split(iris["data"], iris["target"], random_state=0)

 

knn = KNeighborsClassifier(n_neighbors=1)

 

knn.fit(X_train, y_train)

 

print("테스트 세트의 정확도: {:.2f}".format(knn.score(X_test, y_test)))

 

```

 

위 예제는 붓꽃 데이터를 불러와 훈련 데이터와 테스트 데이터를 분리한 후 최근접 이웃 알고리즘(KNeighborsClassifier)을 이용하여 분류 모델을 학습한다. 마지막으로 테스트 데이터에 대한 예측 정확도를 출력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5. 비지도 학습 (Unsupervised Learning)의 개념과 예제 코드

 

 

 

비지도 학습은 입력 데이터만을 가지고 데이터의 구조나 구분을 파악하거나, 패턴을 찾는 데 사용하는 머신 러닝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여러분이 사전지식 없이 과일을 분류한다고 가정해보죠. 여러분은 과일의 특성을 보고 모두 같은 종류라고 생각할 것입니다. 하지만 이를 머신 러닝의 관점에서 생각해보면, 비지도 학습 알고리즘으로 과일을 분류할 수 있습니다. 알고리즘은 사과, 바나나, 오렌지와 같은 패턴을 찾아내어 과일을 자동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비지도 학습에는 대표적으로 군집화(Clustering)와 차원 축소(Dimensionality Reduction)가 있습니다.

 

군집화는 데이터를 여러 그룹으로 나누는 작업입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에서 유사한 패턴을 찾아낼 수 있습니다. 다른 예로는 이상치 탐지(Outlier Detection), 밀도 추정(Density Estimation) 등이 있습니다.

 

차원 축소는 데이터의 차원 수를 줄이는 작업으로, 고차원 데이터에서 중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저장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의 복잡성을 낮추고, 학습 알고리즘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다음은 Python의 scikit-learn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군집화(Clustering) 예제 코드입니다.

 

```python

 

from sklearn.cluster import KMeans

 

from sklearn.datasets import make_blobs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 2차원 가상 데이터 생성

 

X, y = make_blobs(n_samples=300, centers=4, cluster_std=0.60, random_state=0)

 

# KMeans 알고리즘 적용

 

kmeans = KMeans(n_clusters=4)

 

kmeans.fit(X)

 

# 결과 시각화

 

plt.scatter(X[:, 0], X[:, 1], c=kmeans.labels_, cmap="viridis")

 

plt.show()

 

```

 

위 코드는 2차원 가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KMeans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4개의 그룹으로 나눈 후, 결과를 시각화한 코드입니다. 실행결과로는 4개의 색상으로 구분된 데이터가 그래프에 출력됩니다.

 

이처럼 비지도 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하면, 패턴이나 유사한 속성을 가진 데이터를 그룹으로 분류하여, 데이터의 특성이나 패턴을 파악하고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6. 강화 학습 (Reinforcement Learning)의 개념과 예제 코드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은 기계 학습의 하나로, 에이전트(Agent)가 환경(Environment)과 상호작용하며 경험을 통해 보상을 최대화하는 방법을 학습하는 것을 의미한다. 에이전트는 일련의 행동(Action)을 선택하고 이에 따라 상태(State)가 변화하며 보상(Reward)을 받는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에이전트가 가장 최적의 정책(Policy)을 학습하게 된다.

 

이를 예제 코드로 살펴보면, OpenAI Gym을 이용한 간단한 강화 학습 문제를 다룰 수 있다. Gym은 강화 학습을 위한 환경을 제공하는 라이브러리로 다양한 게임, 로봇 제어 등의 문제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CartPole-v1 환경에서는 막대가 세워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Cart의 위치를 조정해야 하는 문제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Q-learning 알고리즘을 이용한 예제 코드는 다음과 같다.

 

```python

 

import gym

 

import random

 

env = gym.make("CartPole-v1") # 환경 생성

 

# Q 테이블 초기화

 

action_size = env.action_space.n

 

state_size = env.observation_space.shape[0]

 

qtable = [[0 for _ in range(action_size)] for _ in range(state_size)]

 

# 하이퍼 파라미터 설정

 

total_episodes = 5000

 

learning_rate = 0.8

 

max_steps = 99

 

gamma = 0.95

 

# 탐험과 활용을 결정하는 엡실론 값 설정

 

epsilon = 1.0

 

max_epsilon = 1.0

 

min_epsilon = 0.01

 

decay_rate = 0.005

 

# 학습 시작

 

for episode in range(total_episodes):

 

# 환경 리셋

 

state = env.reset()

 

step = 0

 

done = False

 

for step in range(max_steps):

 

# 엡실론 값에 따라 탐험 또는 활용 결정

 

exp_exp_tradeoff = random.uniform(0,1)

 

if exp_exp_tradeoff > epsilon:

 

action = np.argmax(qtable[state,:])

 

else:

 

action = env.action_space.sample()

 

# 행동 수행, 환경 변경

 

new_state, reward, done, info = env.step(action)

 

# Q 테이블 업데이트

 

qtable[state, action] = qtable[state, action] + learning_rate *

 

(reward + gamma * np.max(qtable[new_state, :]) - qtable[state, action])

 

state = new_state

 

# 문제 해결 실패 시

 

if done == True:

 

break

 

# 엡실론 값 업데이트

 

epsilon = min_epsilon + (max_epsilon - min_epsilon)*np.exp(-decay_rate*episode)

 

```

 

위 코드에서는 초기화된 Q 테이블을 이용하여 탐험과 활용을 결정하며, 행동을 수행하고 환경을 변경한다. 이를 통해 보상을 최대화하는 최적의 Q 테이블을 학습한다.

 

이처럼 강화 학습은 에이전트가 환경에 대한 경험을 토대로 최적의 정책을 학습하는 방식으로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7. 머신 러닝 모델 평가 기준 소개

 

 

 

머신 러닝 모델 평가는 해당 모델이 얼마나 정확하게 예측을 수행하는지 평가하는 것입니다. 이를 평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정확도(Accuracy)

 

정확도는 모델이 전체 샘플에서 얼마나 정확하게 예측하는지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예측한 값이 실제 값과 얼마나 일치하는지를 계산한 후, 전체 샘플 수로 나눈 값으로 계산됩니다. 그러나 데이터가 불균형 할 때는 정확도가 가장 적합한 평가 기준이 아닐 수 있습니다.

 

2. 정밀도(Precision)

 

정밀도는 양성으로 예측한 것 중에서 실제로 양성인 것의 비율입니다. 즉, 잘못된 예측의 수를 최소화하기 위해 모델이 양성으로 예측한 것 중에서 실제로 양성인 것을 찾아내는 능력을 평가합니다.

 

3. 재현율(Recall)

 

재현율은 실제 양성 샘플 중에서 모델이 양성으로 제대로 예측한 샘플의 비율입니다. 즉, 모든 양성 샘플을 식별하기 위해 모델이 얼마나 잘 예측하는지를 평가합니다.

 

4. f1 점수(F1 Score)

 

f1 점수는 정밀도와 재현율의 가중치 조화 평균입니다. 이것은 모델이 정확하게 얼마나 분류를 잘 수행하는지를 종합적으로 평가합니다.

 

5. AUC(Area Under the Curve)

 

AUC는 ROC(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커브 아래 영역을 계산하여 모델의 분류 성능을 평가합니다. ROC 커브는 분류 모델이 예측을 수행하면서 임계값을 계속 변경했을 때 진짜 양성 비율(TP Rate) 대비 거짓 양성 비율(FP Rate)을 표시합니다.

 

기본적으로, 이러한 평가 기준 중 하나만 선택하여 모델을 평가하는 것은 부족하다는 것을 명심해야합니다. 따라서 가능한 경우 여러 평가 기준을 사용하여 모델의 성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좋습니다.

 

 

 

8. 파이썬 머신 러닝 프로젝트 예제

 

 

 

파이썬 머신 러닝 프로젝트 예제는 실제로 이론을 적용해 볼 수 있도록 프로젝트를 구현해 보는 단계이다. 이 글에서는 카페에서 본인이 찍은 사진을 분석하여 자신의 사진과 가장 닮은 셀럽을 찾는 프로젝트를 예시로 든다.

 

먼저 사진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얼굴 인식 기술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OpenCV 라이브러리와 dlib 라이브러리의 face-recognition 모듈을 사용한다. 이 모듈들은 얼굴 인식 및 얼굴 특성 벡터를 추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이렇게 추출한 얼굴 특성 벡터를 이용하여 셀럽 얼굴 사진들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본인 사진과의 거리를 계산하여 가장 가까운 셀럽을 찾는 알고리즘을 구현한다. 이 알고리즘은 k-최근접 이웃(KNN) 알고리즘이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구현된 프로젝트는 다양한 사진을 분석하여 닮은 셀럽을 찾아주는 기능을 제공하며, 이를 응용하여 얼굴 인식을 바탕으로 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댓글